연마하기/워밍업과 짧은 루틴

토마스 간쉬 워밍업 루틴

J.5 2023. 5. 28. 02:48

므노질 브라스 (Mnozil Brass)의 연주자이자 독특한 디자인의 간쉬혼으로도 알려진 토마스 간쉬 (Thomas Gansch)의 웜업 루틴 진행입니다. 마스터 클라스나 레슨 영상들을 보면, 예전 조이 타텔의 경우에도 보이듯, 강연 도중에 참관하러 온 대중/학생들과 함께 하나씩 밟아가는 경우가 자주 있는데... 이런 과정을 뭐라고 해야할지 단어가 좀 애매하네요. 

주법과 암부셔 등에 관련하여 '형태는 기능을 따른다'는 말 예전에 언급한 적이 있습니다. 텅잉에 관련지어 얘기한 적도 있지요. 이 토마스 간쉬가 오스트리아 빈(비엔나)에 소재한 'JAM Music Labs' 사립음대에 출강하게 되면서 교육영상을 찍었는데, 여기서 선보이는 워밍업 두가지가 이런 부분들을 참 잘 보여주는 것 같아서 잠깐 소개할까 합니다.

#1. 유연성 (Flexibility)

1분 부터 보시면 될 듯 합니다. 짧은 영상이긴 하지만...^^

나팔에 처음 입문하고 나서 걸음마(?) 과정을 뗀 분들이라면 1옥 솔과 2옥 도 정도는 그래도 자신있게 낼 수 있다고 할 수 있겠지요. 하지만 같은 솔-도 라도 이 정도 수준에서 소화가 가능하려면 쉽지 않을 것입니다. (저도 유연성 연습은 안해버릇 하다보니 이 속도는 못내겠더군요 ㅜㅠ 해보니 70~80% 정도 선에서 흉내나마 내는 정도인데... 조금씩 다져볼 생각입니다.)

항상 언급하지만 이 유연성을 '입술의 유연성'이라고 하는 것은 조금 어폐가 있는 것 같습니다. '입술이 얼마나 적은 자극에도 민감하게 반응하는가' 를 나타내는 거라서... 뭐랄까요, 마땅한 단어가 없어서 마지못해 선택된 용어라고나 할까요. '유연성을 갖췄다' 는 것은, 의식적으로 입술을 막 어떻게 해서 소리를 조작해 내는 것이 아니라, 작고 미세한 변화에도 입술이 바로 반응해줄 수 있다, 라는 얘기입니다. 이것은 입술구멍 주변이 릴랙스된 상태일수록 가능한 것이고 (힘이 들어간다는 것은 즉 그만큼 단단하고 경직된다는 것이니까요), 그러기 위해서는 입술을 의식해서 뭔가를 하는게 아니라, 역으로 입술 쪽에서는 생각과 힘을 빼고 최대한 내버려 둬야 하지요. 그런데 '분다' 는 생각이 자꾸 이걸 가로막으니 어려운 거고... 😂 (사실 '바람'이란 단어도 '유연성' 만큼이나 애매한 단어 선택입니다. 보통 서양권에서는 '공기' 내지는 '기류 (공기의 흐름)' 같은, 수동적인 단어들을 쓸 때가 많은데...)

"입술은 알아서 떨리는 거다" 라는 말을 곧잘 되새기는데, 이 '알아서 떨리는 상태' 를 가만히 두고 유지하는 것 → '유연성' 입니다. 즉 최대한 이 부드러운 상태의 세팅은 그대로 두면서 + 입술의 조작이 아닌 다른 요소들로 컨트롤 하고, 입술은 그 컨트롤을 그대로 받아서 반응해주는 상태가 '유연성이 활성화된 상태'라고 할 수 있습니다.  

언제 봐도 놀라운 클로드 고든의 유연성 시범

이 연습을 위해 토마스 간쉬 본인이 언급하는 좋은 팁들은, '가급적이면 일관된 한 줄기의 바람으로, 주욱 뻗어서 소리와 바로 이어지듯이', 그리고 '항상 인터벌의 고음 쪽에 맞춘 포지션을 유지하며, 컨트롤은 구강 내 공간을 이용해서 (휘파람이나 '오'-'이' 발음 등)' 입니다.

 

#2. 세미 스타카토성(性) 싱글텅잉으로 주욱 불기

16분음표로 한 음을 두마디 씩 부는... 이것도 어찌 보면 굉장히 기초적인 연습인데, 간쉬 왈 "그냥 하면 너무 심심하니까" 랜덤하게 어떤 음들은 변박으로 액센트를 넣거나, 위아래 도약을 끼워 넣은 연습입니다. 1번 유연성 연습도 그렇지만 템포가 얼추 100 bpm 정도 되는데, 초보 분들이시라면 이것 자체만으로도 상당한 난관일 수 있습니다.

아티큘레이션에 대해서 토마스 간쉬가 하는 말은 '바람을 막으면서 땃 땃 땃 땃 하는 게 아니라, 바람길은 항상 열려 있어야 한다. 다 다 다 다 하고 간결하게만 끊어준다' 라고 표현하는데(※), 이 발음이 참 재미있는 것 같습니다. 디귿(ㄷ) 발음이긴 한데 좀 쎈 / 딱딱한 디귿이에요. 쌍디귿(ㄸ)과 중간 정도라고 해야 할까요? 저는 '세미 스타카토성' 이라 적긴 했지만... 직접 듣고 해보시기 바랍니다^^

※예전에 서울 선생님께서 '텅잉은 물을 틀어놓고 (=바람), 칼로 그 순간만 자르듯이 하는 거다'라는 요지로 말씀하신 것이 생각 나네요.

토마스 간쉬는 항상 느껴지는 특유의 묘한 아우라가 인상적이었는데, 이 교습 영상들을 보면서 느낀 점은 뭐랄까... 참 무자비한 사람이구나 싶어서 무섭기까지 하더군요. '양들의 침묵' 시리즈의 한니발 렉터 교수같달까... 너무 아무렇지도 않게 편히 웃으면서, 상대방에게 '당연하듯' 요구하는 수준이 무지막지하구나 싶더라구요. 서양음악의 본고장 격인 오스트리아에서 음대까지 올 학생들이면 수준이 이 정도 쯤은 돼야 하는건가 싶기도 하고.

그런데 또 가만히 생각해보니, 참 좋은 방식 아닌가...? 싶기도 합니다. 원래 교육적인 측면으로 볼 때, 배우는 사람에게 어느 정도의 부하(스트레스)는 필요하거든요. 너무 쉬우면 배우는 게 없고, 너무 어려워도 (감당이 안 돼서) 배울 수 있는게 없지만, 적어도 보편적으로 보이는 교습 영상들 수준보다는 하나 더 윗단계의 허들을 제시하기 때문에 좋은 과제가 될 수 있겠구나 싶어요. 

무엇보다도, 빌 아담 학파에서 강조하는 '온전히 몰두하면 몸은 알아서 기능한다'라는 차원에서 좋은 강습인 것 같습니다. 사실 저는 이 영상들을 처음 발견했을 때 가볍게 따라해 보려다가, 생각보다 난해하길래 '... 다음에 시간 있을 때 하자ㅡ.ㅡ;;' 하고 넘어갔던 것이거든요. 워밍업 루틴이라고는 하지만 간쉬의 리드를 따라가려면 귀를 쫑긋 세우고 온전히 집중을 할 필요가 있습니다. 돌려보고, 세어보고, 확인도 해 보면서요.

왜냐면 음악은 커뮤니케이션이잖아... 듣는 것은 핵심적인 부분이니까.
- 토마스 간쉬 (영상 #2 - 1:06)

 

때문에 ~이번 포스팅 용으로 위의 루틴들은 채보해 두긴 했습니다만~ 가급적이면 아래의 PDF 악보는 최대한 보지 않고 직접 몰두해서 따라하시는 것을 추천합니다. 문제풀이를 하는데 답안지를 보면서 베껴쓰면 의미가 없잖아요? 🙂

 

Thomas_Gansch_Warm_Up.pdf
0.08MB

요건 문제집의 답안지처럼...!